
국산 농산물 소비도 늘리고, 취약계층의 건강도 챙길 수 있는 정부 지원 제도, '농식품 바우처'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농식품 바우처'가 무엇인지, 누가 대상인지,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등 꼭 알아야 할 정보를 정리해 드립니다.
1. 농식품 바우처 제도란?
농식품 바우처 제도는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제23조의 2(취약계층 등에 대한 식품지원)에 근거하여 시행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취약계층에게 건강한 식품을 제공하고, 식품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
단순한 현금 지원이나 현물 제공이 아닌, ‘바우처 카드’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국산 식품을 직접 고를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됩니다.
이 제도를 통해 정부는 취약계층의 식품 구매력을 높이고, 동시에 국산 농산물 소비를 촉진하고 있습니다.
2. 농식품 바우처의 주요 목적
▪️식품 접근성 강화 : 취약계층이 신선고 건강한 식재료를 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지원
▪️국산 농산물 소비 촉진 : 국산 과일, 채소, 우유 등 우수한 품질의 농식품 소비 기반 확대
▪️지속가능한 소비체계 구축 : 먹거리 안전망을 확대해 지속 가능한 농식품 유통 시스템 형성
3. 농식품 바우처 지원 대상과 지원 금액
▪️지원 대상은 생계급여 수급가구 중 임산부, 영유아, 아동이 포함된 가구입니다.
가구원 수 지원 금액
1인 가구 40,000원
2인 가구 65,000원
3인 가구 83,000원
4인 가구 100,000원
5인 가구 116,000원
6인 가구 131,000원
7인 가구 145,000원
8인 가구 159,000원
9인 가구 173,000원
10인 이상 187,000원
▪️지원 방식은 전자 바우처 카드 형태이며, 매월 자동 충전되어 당월 말일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사용 가능한 품목은?
농식품 바우처로는 국산 식품만 구매할 수 있으며, 아래 품목으로 제한됩니다.
●국산 과일류, 채소류, 흰 우유, 신선한 계란, 육류, 잡곡류, 두부류
주의: 이외 품목은 구매할 수 없습니다.

5. 농식품 바우처 신청 방법
● 신청 기간: 2025년 2월 17일 ~ 2025년 12월 12일
● 신청 대상: 해당 가구의 가구주 또는 가구원이 직접 신청
● 신청 수단
방문 신청 : 주소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전화 신청 : 고객지원센터 1551-0857
온라인 신청 : 농식품 바우처 공식 홈페이지 이용
● 신청 유형
신규 신청 : 처음 신청하는 경우
변경 신청 : 가구원 수나 주소 등 인적사항이 변경된 경우
(변경 신청은 반드시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에서 접수)
6. 바우처 사용 방법과 사용처
● 카드 수령 후 다음날 자동 활성화
● 즉시 사용 원할 경우: 1551-0857(ARS)로 등록 가능
● 매월 1일 카드 자동 충전 → 당월 말일까지 사용 가능
사용처 안내
● 오프라인 : 약 30여 개 업체, 5만 9천여 개 지정매장에서 사용 가능
● 온라인 : 지정 온라인 쇼핑몰에서 가능
● 꾸러미 배송 : 신청 시 선택한 경우에 한해 정기 배송 (지자체별 운영 여부 상이)
7. 농식품 바우처로 달라지는 일상
농식품 바우처는 단순한 복지제도가 아닌, 국민 건강과 국내 농업을 함께 살리는 중요한 정책입니다.
취약계층 가정의 식생활 질을 높이고, 국산 농산물의 소비 기반을 확장하는 이중의 효과가 있는 만큼
지금 꼭 확인하고, 주변에 알려주세요.
2025년 저소득층 에너지 바우처 신청 방법 - 에너지 요금 폭탄? 정부가 대신 내드립니다.
2025년 저소득층 에너지 바우처 신청 방법 - 에너지 요금 폭탄? 정부가 대신 내드립니다.
2025년에도 전기세, 가스비, 난방비가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정부에서 제공하는 에너지 바우처는 정말 꼭 챙겨야 할 지원급입니다. 2025년에도 어김없이 시행되는 저소득층 에너지바우처 -어떻게
anise9886.tistory.com
'금융생활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우처 제도 비교: 농식품 바우처 vs 문화누리카드 vs 국민행복카드-다들 바우처 제도 하나쯤은 알고 계시죠? (11) | 2025.05.19 |
---|---|
5대 은행 가계대출, 보름 새 2.9조 급증…금리 인하와 규제 완화가 만든 불씨 (31) | 2025.05.18 |
50세 이상 채용하고 최대 960만 원 받는 법 (신중년 적합직무 고용 장려금) (13) | 2025.05.18 |
2025년 희망리턴패키지 원스톱폐업지원 소상공인 모집 공고 - 벼랑 끝 소상공인, 희망을 잡으세요! (14) | 2025.05.18 |
2025년 보청기 지원금,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놓치면 손해! (41) | 2025.05.17 |